공공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작은도서관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811.7
그래요 그러니까 우리 강릉으로 가요 : 심재휘
  • ㆍ저자사항 심재휘 지음
  • ㆍ발행사항 파주: 창비, 2022
  • ㆍ형태사항 100 p.; 20 cm
  • ㆍ총서사항 창비시선; 468
  • ㆍISBN 9788936424688
  • ㆍ주제어/키워드 에세이 한국시 현대시 강릉 시집
  • ㆍ소장기관 화천어린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EM0000141267 [화천어린이]
일반811.7-심72그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세정보

“꽃이 지던 창밖의 먼 과수원도 그날의 사랑도 이제는 소리만 있는 거야 해변의 밤이야” 삶의 쓸쓸함을 살뜰히 돌보는 따스한 시편들 그리운 바다와 함께 펼쳐지는 아름다운 서정의 세계 따뜻하고 진솔한 언어로 독보적인 서정시 세계를 펼쳐온 심재휘 시인의 신작 시집 『그래요 그러니까 우리 강릉으로 가요』가 출간되었다. 2019년 제1회 김종철문학상 수상작 『용서를 배울 만한 시간』(문학동네 2018) 이후 4년 만에 펴내는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존재의 비애와 고독을 담담한 문체로 담아낸다. 서울, 런던, 강릉을 각각 배경으로 해 3부로 구성된 시집은 쓸쓸한 일상과 그리운 고향의 바다를 차분히 그려내며 “조용히 오래 스며드는 울림”(전동균 추천사)을 전한다. 고즈넉한 정서로 엮인 단정한 시편들은 위로를 줄 뿐 아니라 환한 사랑의 감각을 일깨워준다. 심재휘의 시에는 삶에 대한 연민의 정서와 적멸에 가까운 외로움이 담겨 있다. 시인은 서울과 런던, 그리고 고향인 강릉을 오가며 소멸해가는 풍경들의 자취를 더듬어가면서 지나온 시간들을 돌이켜본다. 고향을 떠나와 “헛것들만 남은 몸”(「알뜰한 이별」)이 되어 살아가는 외로움은 더욱 깊어만 가지만, 시인은 “내가 돌볼 수밖에 없는 그저 쓸쓸한 쓸쓸함”을 벗 삼아 달래며 적막한 도시의 거리를 걷는다. “봄 햇살이 데리고 왔던 쓸쓸함”(「쓸쓸함과의 우정」)이 자신의 내면에 들어오던 유년의 순간을 기억하고 먼 바다의 빛깔과 냄새를 떠올리며 과거의 바다와 현재의 도시를 잇는다. 시인은 생의 쓸쓸함에만 머물지 않고 사랑의 풍경을 그려내기도 한다. 쇠물닭 한마리가 다른 쇠물닭에게 다가가는 장면을 꾸밈없는 언어로 서술하며 “깊이를 알 수 없는 물 한가운데로”(「사랑」) 나아가는 사랑의 환희와 생명의 경이로움을 전한다. “가슴 언저리에 선반을 달고 그곳에/당신을 위한 차 한잔을 얹어드리”(「가슴 선반」)는 다정하고 순박한 마음으로 삶의 불안과 슬픔 속에서도 빛나는 생의 아름다움을 노래하려 한다. 때로는 “맹물 마시듯/의미 없는 날도 있어야” 하고 “잘 살려고 애쓰지 않는 날도 있어야”(「행복」) 한다는 마음의 여유를 생각하고, 덧없는 삶일지라도 “하루쯤 더 살아보라고 걸음 앞에” 내리는 “신발 모양의 두툼한 어둠”(「신발 모양 어둠」) 속에서 한줌 불빛을 발견하기도 한다. 생의 기쁨을 잊지 않고 살아가려는 시인의 의지는 역설적으로 지극한 그리움 속에서 가장 또렷이 드러난다. 유년의 바다, 추억 속의 강릉은 다시 돌아갈 수 없는 곳이지만 “옛집은 언제나 거기 있다는 것”을 위안으로 삼고서 시인은 “모두 데리고 올 수 없어서 거기인 것들”(「옛집」)에게 슬픔이 아니라 고마움을 담아 인사를 전한다. 그렇게 『그래요 그러니까 우리 강릉으로 가요』가 지닌 그리움은 과거에 대한 향수에만 머물지 않고 사랑하며 살아가는 환희, 이곳과 저곳을 오가며 시간을 이어가는 인생의 경이로움을 담아내는 데까지 나아간다. 시집의 마지막에 이르러 “어쩌다 장칼국수 식당이 되어버린” 아버지의 옛집에 “당당히” 들어가 “장칼국수 한그릇이요”(「임당동 장칼국숫집 광고」) 나직하게 외치는 시인의 목소리는 적적하기보다 정겹게 들려온다. 시인이 마련한 고향 풍경을 함께 바라보며 우리도 저마다 간직해온 먼 바다, 오랜 그리움을 따스하게 떠올릴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