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도서관
선택한 기관 검색 선택해제
작은도서관
통합검색 상세검색 다국어 입력기

자료검색 > 상세페이지

저자

발행처

발행년도

KDC 카테고리

KDC : 811.7
를 가지러 가야 한다
  • ㆍ저자사항 신동호 지음
  • ㆍ발행사항 파주: 창비, 2022
  • ㆍ형태사항 116 p.; 20 cm
  • ㆍ총서사항 창비시선; 478
  • ㆍISBN 9788936424787
  • ㆍ주제어/키워드 그림자 한국문학 한국시 현대시
  • ㆍ소장기관 화천어린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구분 낱권정보 자료실 / 청구기호 자료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EM0000141261 [화천어린이]
일반811.7-신225그
대출가능 - 예약불가

상세정보

“뒤를 돌아보게 하는 건 그림자 때문이다” 반대쪽에 드리워진 삶을 향한 애틋한 그리움 서사적 상상력과 서정시의 눈부신 결합 감시와 처벌의 시대를 온몸으로 통과하며 우리가 나아가야 할 새로운 길을 모색해온 신동호 시인이 네번째 시집 『그림자를 가지러 가야 한다』를 펴냈다. 장장 18년 만에 선보인 세번째 시집 『장촌냉면집 아저씨는 어디 갔을까?』(실천문학사 2014) 이후 다시 8년의 벼림 끝에 내놓는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서정적 감수성과 서사적 상상력이 어우러진 시세계를 펼치며 “사소한 일상의 자리”에서 “가족사와 성장사를 거대한 역사적 시간대에 비끄러맨”(손택수, 추천사) 시편들을 선보인다. 지나온 세월을 반추하며 현재의 삶을 성찰하고 미래를 모색하는 시편마다 힘겹게 세상을 건너온 고투의 흔적이 역력하다. 또한 일생 남북문제에 헌신해온 그는 지난 문재인정부에서 연설비서관으로 일하며 딱딱한 현실 정치를 서정적인 언어로 풀어내는 ‘대통령의 필사’로 불리기도 한바, 이번 시집에서 그만의 장기를 유감없이 발휘한다. 시인은 끝없이 갈라지는 길 위에서 추억에 젖는다. 그러나 단순히 과거로 회귀하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인물과 장소를 호출하여 지금-여기의 삶을 표상하는 구체적인 이야기의 주체로 되살려낸다. 이 모든 것은 과거 속으로 사라지지 않고 현재의 삶 속에서 살아 숨 쉰다. 추억 속으로 들어가 건져 올린 “흥에 겨워본 일 없는 생(生)”(「탓」)의 기억들은 시인의 가슴속에 고통과 기쁨과 사랑과 꿈이 뒤섞인 아련함으로 남는다. 시인은 “지금도 이해할 수 없는” 그 “아련함 때문에 세상을 바꾸고 싶었다”(「끝없이 두갈래로 갈라지는 길들이 있는 정원」)고 말한다. 세상에 대한 분노와 슬픔은 던져버릴 수 있어도 아련함은 버릴 수 없었다. 그러나 ‘오월 광주’가 스무살 가슴속으로 들어온 이후부터 “혁명이란 단어를 오랫동안 품고 살았”으나 “혁명의 피 냄새는 늘 두려웠다”(「경장(更張)」)고 고백한다. 확신에 찬 사람들 앞에서 휘청이며 부끄러워했던 회한에 젖기도 하지만 시인은 “집단의 정의가 개인의 복수 행위보다 더 잔혹”할 수 있다는 뼈아픈 경험을 통해 “‘진보’라는 절대운동은 없”으며 세상을 움직이게 하는 것은 “격렬한 동사들”이 아니라 “따뜻한 동사들”(「운동하는 물체의 전기역학에 대하여」)이라는 깨달음에 이른다. 한편 신동호 시인은 ‘통일운동가’로도 오래 활동해왔다. 대학원에서 남한 내 북한 출판물 현황 연구 용역을 하다 남한에서 중구난방으로 출간되던 북한 예술작품의 저작권 문제에 눈을 뜬 그는 북의 책을 남에서 출판할 수 있도록 저작권 협상을 대행하고, 북쪽 노래들을 남쪽 가수들이 부른 음반을 직접 제작하기도 했다. 남북경제문화협력재단에서 상임이사와 문화협력위원장을 지내기도 한 그는 오랜 세월 남과 북의 문화교류를 위해 고투해왔다. 이번 시집에서 그런 시인의 면모가 잘 드러난 시들을 만날 수 있다. 특히 “이별과 만남, 열망의 기나긴 기록”이 마침내 “2045년 11월 3일” 현실로 도래한 통일 이후의 미래를 예견하는 장시 「깔마 꼬레아 여행 가이드북」은 가히 이 시집의 백미(白眉)라 할 만하다. 시인은 “전쟁과 정전, 종전과 평화” 같은 정치적 이념의 관성을 뛰어넘어 “증오와 미움을 이겨”내고 분단의 비극적 역사를 끝낸 ‘깔마 꼬레아’의 세계로 우리를 안내한다. 어차피 “바다와 파도는 둘이 아니었다”. 신동호 시인이 “단절과 망각”(「서랍」)의 장벽에 가로막힌 남과 북의 경계를 허물고 나아가 세계를 넘나드는 웅혼한 기상과 역사적·지리적 상상력으로 건설한 ‘깔마 꼬레아’는 일찍이 신동엽 시인이 꿈꾼 “아름다운 석양 대통령”(「산문시 1」)과 함께 또 하나의 한반도 평화공동체의 상징으로서 길이 남을 것이다. 시인은 여전히 끝없이 갈라지는 “미로 같은 골목길”(「서촌, 인왕제색(仁王霽色), 이상」)을 서성인다. ‘일상의 길’이자 ‘시대의 길’이자 ‘시의 길’인 이 길은 계속해서 여러갈래 길을 만들어낼 것이고, “아직 만나지 못한 사람”과 “가보지 못한 길”(‘시인의 말’)이 있기에 시인의 마음은 더욱 아련할 것이다. 폭력과 야만의 불온한 시대를 헤쳐오는 동안 시는 휘청이는 삶 속에서 번번이 쓰러졌던 시인을 일으켜 세웠다. “스무개의 절망과 한개의 사랑을 품은 채”(「계단」) 세상의 한복판을 건너왔던 시인은 이제 “스무개의 이상과 한개의 아련함”(오연경, 해설)을 간직하고서 온전히 본연의 자리로 돌아와 우리의 마음에 빛나는 발자국을 남길 것이다.